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ithub
- git
- JS
- 코드공유
- react
- jQuery
- 비전공자
- 정보처리기사
- 프론트엔드
- 연산자
- Supabase
- 웹디자인기능사실기
- 웹디자인기능사
- 생활코딩
- 깃
- PROJECT
- HTML
- 실기
- 세로메뉴바
- JavaScript
- 웹퍼블리셔
- 리액트
- CSS
- web
- 자바스크립트
- 렛츠기릿자바스크립트
- 코딩독학
- 타입스크립트
- 웹디실기
- 슬라이드전환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50)
코딩하는라민

[Splunk] Splunk Python SDK 로 Splunk Enterprise 에 연결하기 Splunk python SDK 로 Splunk 에 연결하려면 우선 연결에 필요한 인증 정보가 필요하다.인증 정보는 `세션 키`, `토큰` 또는 `사용자명/비밀번호` 중 하나가 필요하다. Splunk 와 연결하기사용자명(username)/비밀번호(password)로 연결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Splunk 를 설치했던 username 과 password 로 로그인하는 방법이다. 간단한 테스트를 할 때 주로 사용한다.import splunklib.client as clientHOST = "localhost"PORT = 8089USERNAME = "admin"PASSWORD = "yourpassword"servic..

[Splunk] Splunk Python SDK 설치하기 `Splunk` 는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가치있는 정보로 가공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이다.로그 데이터, 이벤트, 메트릭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검색하기 쉽도록 구조화 및 인덱싱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대규모 데이터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search 할 수 있다.또한 Splunk 는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여, 그래프나 차트와 같이 데이터를 간편하게 시각화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Splunk Python SDK 란?Splunk app 이 아닌 외부 프로젝트에서 Splunk 의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때 Splunk REST API 를 통해 직접 호출해야한다.Splunk REST API 를 직접 구현하는 것은..

[Splunk] Splunk App 추가하기 Splunk Web에서 App 추가하기localhost:8000 접속 후 왼쪽 상단의 [관리] 클릭 현재 생성되어 있는 앱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앱의 경로는 윈도우 기준 `C:\Program Files\Splunk\etc\apps` 이고, 추가한 앱 혹은 기존 앱의 목록이 해당 경로에 표시된다. 우측 상단의 [앱 만들기] 클릭 앱 정보 입력추가할 앱의 이름과 폴더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을 눌러준다.표시 여부에 [아니오]를 클릭하면 Splunk App 의 메인 화면에 앱 목록이 표시되지 않는다.`이름` : Splunk App 에 표시될 앱 이름`폴더 이름` : Splunk 경로에 표시될 앱 폴더 이름 앱 목록 확인앱 목록에 새로 생성한 앱 이름이 ..

[Python] 윈도우 파이썬 설치 및 환경 변수 설정 파이썬 설치하기파이썬 공식 홈페이지구글에 파이썬 or Python 을 검색하여 Welcome to Python.org 페이지에 접속해준다. Welcome to Python.org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www.python.org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로드자신의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해준다.현재 최신 버전은 `3.13.3`.만약 이전의 특정 버전을 다운하고자 한다면 아래의 [View the full list of downloads] 를 클릭해준다. 이 중 원하는 버전을 다운로드해주면 된다. 기존 파이썬 버전을 업그레이드/다운그레이드만약 기존에 설치된 앱이 있는데 버전을 업그..

[React] React 베타/RC 버전 설치 시 발생하는 의존성 충돌 해결하기(ERESOLVE unable to resolve dependency tree) 당시 신규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리액트 19버전을 설치하게 되었다.리액트 19는 2024년 4월 25일에 공개되어 12월 5일에 안정화 버전이 출시되었는데, 당시에는 아직 안정화 버전이 출시되기 전이라 RC(릴리즈 버전)을 설치하게 되었다."dependencies": { "react": "19.0.0-rc-66855b96-20241106", "react-dom": "19.0.0-rc-66855b96-20241106",}, 릴리즈 후보 버전은 처음 설치해봐서 package.json 에 이러한 형태로 설치된 것을 보고 어리둥절했다.사수한테 "..

[Vite] tsconfig.json 외에 tsconfig.app.json, tsconfig.node.json 파일이 생성되는 이유 Vite 프로젝트 생성 시 `tsconfig.json` 파일 외에도 `tsconfig.node.json` 과 `tsconfig.app.json` 파일이 생성된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왜 세 개의 파일이 생성되며, 각각의 역할은 무엇인지 그리고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각 파일의 역할📄 tsconfig.json`tsconfig.json` 파일은 공통적인 설정을 정의하는 파일이다. 주로 빌드 설정, 전역 옵션, 참조 파일 목록 등을 포함한다. 📄tsconfig.app.json`tsconfig.app.json` 는 주로 브라우저와 관련된 옵션을 포함한..

[Supabase] 사용자의 계정 소유 확인 및 로그인 성공 여부 파악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개인 프로젝트에서 Supabase 를 이용해 로그인/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했었다. 이와 관련된 질문을 받았을 때"Supabase 에서는 로그인 시 사용자가 해당 계정의 주인임을 어떻게 확인하며, 로그인이 성공했음을 어떻게 확인하는 가"라는 질문을 받았다. 당시에는 이 부분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대답했지만, 다시 생각해보니 내가 전혀 모르는 부분이 아니었다. 🥲그때 당시 소유 확인은 모른다고 대답했고 로그인 성공 시에 Supabase 에서 반환하는 값들에서 uuid 를 통해 사용자를 구분하여 사용한다고 대답했었다. 질문자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대답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본 포스팅에서는 Supabase의 Auth..

[빅분기/비전공자] 24년 8회차 빅데이터 분석기사 합격 후기 🎉 정보처리기사 합격 후 또 다른 IT 자격증인 빅데이터 분석기사 자격증에 도전했다.정보처리기사보다 합격을 간절히 바란 건 아니었지만, 이것으로 기사 자격증 2개 취득에 성공해서 기분이 좋아졌다.😋 📌 실기 합격!6월 22일에 치러진 빅분기 실기 시험!높은 점수로 합격한 것은 아니지만(턱걸이) 그래도 합격은 합격이니 뿌듯하다.마지막에 시간이 많이 남아서 점검을 많이 했지만 어이없게 1과목에서 실수하는 바람에 70점밖에 못 맞아 버렸다.😭빅데이터 자격증은 정말 문제 해석이 중요한 것 같다. 물론 이번에는 지난 회차보다는 문제가 해석하기 용이하게 나왔지만..시험장에서 바로 옆에 다른 수험생이 붙어있어서 신경이 많이 쓰였는지.. 긴장하고..

[React, Supabase] 사용자별 데이터 접근 및 제어하기 (RLS Policy) 가계부 캘린더를 예를 들어보자.사용자는 캘린더에 가계부 내역을 등록하고, 본인의 내역만 조회, 수정, 삭제가 가능해야 한다. 서비스에 여러 사용자가 있다면 각 사용자가 동시에 Ledger 테이블에 접근하게 된다. 이 경우 게시판과 같이 공개된 데이터가 아닌 이상 자신의 데이터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이를 위해 Supabase 에서 RLS 정책을 지원한다. RLS(Row-Level Security) 정책이란?`RLS` 는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기능 중의 하나이다.각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row)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정책이다.예를 들면, user1 이라는 사용자는 user_name 의 user1 데이터 행..

[React, Supabase] 이메일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 구현 & 트리거 설정 Supabase 로 회원가입을 진행하면 회원가입을 한 유저의 정보는 기본적으로 Authentication 탭의 `Users` 테이블에 저장된다. Users 테이블에는 이메일과 패스워드, 사용자의 UUID 등이 저장되는데 우리는 이 외에도 회원 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해줘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름, 닉네임, 프로필 이미지, 주소 등이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별도로 테이블을 추가해줘야 한다. 또한, Users 테이블의 UUID 를 userinfo 테이블의 id 로 가져와야한다. 즉, 테이블과 테이블 사이에 `관계`를 만들어줘야 한다.그래야 추가적인 유저 정보를 회원가입과 동시에 추가해줄 수 있기 때문이..